한국에너지공단 신 · 재생에너지 정보서비스 플랫폼은
국내 신·재생에너지 설비보급 활성화를 지원합니다!
PTC형 집열형태를 가진 모듈을 여러개 합쳐놓은 형태의 집열기로 300℃이하의 중온용 집열 시스템에 사용
집광형태의 기하학적 구조가 평판형을 포물선모양으로 구부려 놓은 형태인 집열기로 300℃이하의 중온용 집열 시스템에 사용
천연가스가 저온·고압하에서 응고한 드라이아이스형 고체물질로 석유, 가스의 대체연료를 말하며,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2015년 상업생산 목표로 연구 개발중(전세계 추정 매장량 약 10조톤)
석탄, 중질잔사유 등의 저급원료를 고온, 고압하에서 가스화시켜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가 주성분인 가스를 제조하여 정제한 후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을 구동하는 발전기술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1 ~ 3kW급의 연료전지로 주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음.
결정이란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가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는 상태(금속이나 수정과 같은 고체)
분자량이 큰 오일성분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분자량이 작은 오일성분으로 변화시킨 것
40℃-50℃에서 활동할 수 있는 미생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메탄 발효용, 온천에서 서식하는 미생물 등
공공기관이 신축하는 연면적 3천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서 총건축공사비의 5%이상을 신·재생에너지설비에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제도(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12조)
혼합폐기물을 각 종류별로 분류할 때 밀도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혼합된 폐기물을 임의의 높이에서 낙하시키면서 낙하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빠른 속도의 공기를 분사하여 낙하하는 폐기물들을 분류함. 이 때 낙하되는 폐기물들은 밀도에 따라서 공기에 의한 이동 거리가 다르게 되므로 밀도별로 분리됨
Public Utility Regulatory Policy Act (공익사업규제정책법)의 첫글자를 딴 것으로 미국에서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에너지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효율기준을 정하거나 개선책의 추진을 하기 위한 법률
신·재생에너지 생산용 및 이용기자재(동 기자재 제조용 기계 및 기구를 포함)로서, 산업자원부장관 또는 산업자원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의 장이 규격 및 용도를 확인한 것에 한하여, 4개분야(태양열,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26개 품목의 물품에 대해 해당 관세액의 100분의 65를 경감하는 제도
반도체에 빛을 비추면 원자핵에 결합되어 있던 전자가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자유로운 상태가 되는데 이렇게 된 전자를 "자유전자"라고 하며, 이러한 자유전자에 의해서 재료 내부에서 전압의 차이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반도체를 외부회로와 연결시키면 전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현상을 광기전력효과라고 함.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 방향이 일정한 직류에 대응하는 말로, 교류는 변압기에 의해서 거의 손실 없이 전압을 바꿀 수 있어 송전에 편리함
국제에너지기구. 국제에너지계획(IEP: International Energy Program)을 수행하기 위하여, 1974년 9월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내 설치된 자율적 기관으로서,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26개국이 참여하여 에너지 문제 협력에 관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수행
신·재생에너지로 필요한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약 50호 규모의 환경친화적인 시범마을
모듈을 이루고 있는 태양전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커버글라스라고 함
혼합폐기물을 각 종류별로 분류하기 이전에 크기별로 1차로 분류하는 방법 중의 한가지로 치밀도가 다른 여러 가지 체를 통과시키면서 각 크기별로 분류하는 법
3차원적으로 볼 때 적어도 한 변의 길이가 100나노미터 이하 크기의 물질. 두께가 5나노미터인 판상 형태의 점토판이나 나노미터 크기의 세공(fine-pore)을 가진 물질도 포함
풍력발전기에서 발전기가 받는 공기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일종의 덮개로 타워의 상부에 위치함
바람이 갖고 있는 에너지를 역학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
소비자가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인상되는 추가적인 에너지비용을 자발적으로 부담하는 제도
다결정 실리콘 재료로 만든 태양전지를 말하는 것으로 다결정 실리콘은 재료 내부의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 되어있는 방향이 서로 다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자 배열의 불연속면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불연속면 때문에 전력변환효율이 단결정에 비해 낮다.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단결정 실리콘 재료로 만든 태양전지를 말하는 것으로 재료 내부의 원자 배열의 방향이 균일한 상태이므로 태양전지의 전력변환효율이 우수하나 제조가격이 비쌈
연료전지 단위전지(Cell)는 기본적으로 전해질이 함유된 전해질 판, 연료극(anode), 공기극(cathode), 이들을 분리하는 분리판 등으로 구성. 이 단위전지(Cell)에서 전력을 인출하는 경우 통상 0.6∼0.8V의 낮은 전압이 생성되고, 단위전지를 반복하여 쌓으면 연료전지 스택이 됨
태양광 아래에서 사용하는 옥외용 필름. 데이라이트란 태양광과 하늘 등에서 비치는 반사광의 광원을 모두 합친 것
최종소비자에게 전력을 직접판매할 수 있는 권한이 없고 도매시장이나 소매망을 가지고 있는 전력회사에 전력을 판매하는 발전사업자.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전력시장에 참여하지 않고 한전과 전력수급계약(PPA)을 체결하여 한전에 전력을 판매하는 발전사업자를 말함
경유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인 디젤기관을 발전기에 연결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전자기파의 일종으로서 파장의 크기는 3mm에서 1.3m 범위에 있으며 주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통신에 사용됨
쓰레기 매립지에 매립된 폐기물 중 유기물질이 혐기성 분해 과정에 의해 분해되어 발생되는 가스를 말하며 그 성분은 주로 메탄(CH4;40∼60%)과 이산화탄소(CO2;30∼50%)로 구성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유기물은 혐기성균의 공동작용에 의하여 분해되며,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발효를 말함. 제1단계는 복잡한 화합물이 간단한 화합물 특히 저급지방산으로의 분해이고 제2단계는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분해임. 메탄발효는 제2단계 분해를 말하며 이것에 관여하는 세균을 메탄세균이라고 총칭함. 발효온도는 중온과 고온이 있고, 후자의 경우 전자보다 유기물의 분해속도가 빠름. 도시발기물의 메탄 분해소화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 및 에너지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전극재로 태양전지 겉면에 얇게 씌워져 에너지 생성에서 전기를 통하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함
모듈이란 보통 2-100개의 태양전지를 연결한 것을 말하며, 이러한 모듈을 연결하여 어레이를 제작함. 태양전지를 모듈화하기 위해서는 모듈의 광학적 성질, 전기적 성질을 만족해야 하며, 특히 내구성, 신뢰성 등이 요구됨. 모듈을 만드는데 필요한 태양전지의 수는 축전지 입력 전압*축전지 직렬 개수/태양전지 모듈의 출력 전압으로 결정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목재를 압축 성형하여 생산하는 작은 원통 모양의 표준화된 목질계 고체바이오연료
저탄소 녹색성장과 화석연료 등을 대체하기 위해 목재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온실가스(CO2) 및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연료전지와 같은 무공해 동력기관으로 작동하는 자동차
혐기성 소화작용으로 바이오매스에서 생성되는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혼합 형태인 기체를 말함. 이러한 혼합기체로부터 분리된 메탄을 바이오메탄가스라고 함. 그 외 바이오 가스의 형태는 퇴비가스, 습지가스, 폐기물 등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것과 제조된 가스도 있음
자연에 존재하는 각종 기름(fat, lipid) 성분을 물리적, 화학적 처리 과정(에스테르공정)을 거쳐 석유계 액체연료로 변환시킨 것을 말함. 특히 BIODIESEL이란 용어는 오스트리아 "BIOENERGIE社"에서 개발한 등록상표로서 일반적으로 각종 동·식물油로부터 전환된 디젤을 지칭하는 일반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나 상표명에 대한 법적권리는 등록회사에 귀속하고 있음
바이오매스(Biomass)는 식물이나 미생물 등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생물체 및 그들의 활동에 수반하여 생성되는 유기 물질을 말함. 해마다 전 세계에서 소비하는 총에너지의 17배에 해당하는 에너지가 광합성에 의해서 녹색 에너지로 저장되고 있으며, 바이오매스로부터 에너지 자원을 획득하는 데는 발효 기술의 응용이 필요하며, 이미 일부에서는 바이오메스로부터 자동차용 연료로 사용할 알코올을 생산하여 활용하고 있음
동·식물 또는 바이오매스를 직접 또는 생·화학적, 물리적 변환과정을 통해 액체, 기체, 고체연료나 전기·열에너지 형태로 이용하는 것. 연료용 알콜, 메탄가스, 매립지가스(LFG), 바이오디젤 등을 생산하여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기술로서 차량용, 난방용 연료 및 발전분야 등에 이용이 가능함
에탄올은 화학적 합성도 가능하지만 생물공정으로도 생산 되는데, 이러한 생물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에탄올을 말함. 술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와 마찬가지로 당을 생성하는 작물로부터 추출된 당을 효모나 박테리아로 발효를 통하여 생산. 옥수수와 같은 전분을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산이나 아밀라제로 불리는 효소로 먼저 전분을 포도당으로 전환하여 발효
동·식물성 유지, 지방산에스테르 및 그들의 혼합물로서 동점도, 유동점, 전산가(全酸價, total acid number)등의 품질특성을 만족해야 함
비정질실리콘, CuInSe2 등의 화합물반도체를 소재로 한 것으로, 두께 수 um 내외로 유리 등의 기판위에 박막형태로 만든 태양전지로 대면적의 모듈을 일관공정으로 제조 할 수 있음.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주로 금속)와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부도체(절연체)의 중간 정도의 전기 전도도를 가진 물질로 반도체가 요즘 널리 사용되는 주요 이유는 불순물을 첨가하여 전기전도도를 넓은 범위에서 쉽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임
날개에서 발생한 역학적인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전기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경비를 발전비용이라 하며, 발전비용에는 발전소를 짓는데 필요한 건설비용과 발전소 건설한 후 운전하는데 필요한 운전비용으로 나누어짐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장치들을 의미함. 일반적인 화력 발전의 경우,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생산하는 보일러, 증기를 이용해 발전기 축을 돌리는 증기 터빈,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발전기 등이 주요 발전장치에 해당함.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가 갖고 있는 총에너지중 전기로 전환된 에너지의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발전효율이 30%라는 것은 연료가 갖는 총에너지의 30%만이 전기로 전환되고 나머지 70%는 열에너지를 비롯한 다른 에너지 형태로 변환된 것을 의미함
어떤 물질이 분열할 때 방출되는 입자선을 말하며 이러한 입자선은 인체내의 세포를 파괴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우라늄과 플루토늄이 있음. 이러한 방사선은 의료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그 양은 매우 적어 인체에 큰 해로움은 없음
석유에 사용하는 용량의 단위, 1 bbl = 42 gallon(미), 1 bbl = 34.97 gallon(영), 1 bbl = 158.984ℓ
전기를 원하는 곳으로 끌어오기 위한 전기선을 말함. 이와 같이 전기선을 연결하는 방법을 배선이라고 함
교토의정서 제17조에 정의되어 있는 배출권거래제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국가(Annex B)가 의무감축량을 초과 달성하였을 경우, 이 초과분을 다른 온실가스 감축의무국가와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내부에 일정량의 전기를 가지고 있다가 외부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
축이 회전 운동을 할 때 마찰 저항을 작게 하여 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축을 받쳐주는 기계요소
날개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발전기에서 요구되는 회전수로 변속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장치
집이나 공장에서 전기와 열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때 필요한 전기와 열을 같이 생산하는 것을 복합발전이라고 함.
석탄에 열을 가했을 때 부산물로 생성되는 가스로 주로 제철공장, 석유화학공장 등의 공정등에서 많이 생성
연료전지 스택에서 각 전지를 분리하고 있는 전도성 판. 흔히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s)라고도 함. 연료가스와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 외에 연료가스와 공기의 유로 확보 및 외부회로에 전류를 전달하는 역할을 함. 주로 수지가 합침된 흑연판, 탄소복합체 판, 금속판 등으로 제작됨
원자력이나 대용량 화력 등과 같은 집중적이고 대용량이 아닌 소용량의 전력저장시스템이나 발전시스템을 일컫는 말로서, 수력, 태양광, 바이오,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전원, 소용량의 열병합발전시스템, 전기 등을 이용한 전력 저장시스템을 예로 들 수 있음. 기존의 전력회사의 대규모 집중형 전원과는 달리 소규모로서 소비지 근방에 분산배치가 가능
물을 전기분해하면 수소와 산소가 2:1의 부피비로 생성되는데 이 혼합가스를 브라운가스라고 하며, 주로 용접, 특수가열 등의 용도로 사용됨
바람의 에너지를 회전운동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로 풍력 발전기의 날개 부분
결정질이 아닌 상태, 즉 원자의 배열에 규칙성이 없는 상태의 실리콘 재료로 만든 태양전지를 말하는 것으로, 이렇게 결정구조가 바뀌면 실리콘이 빛 흡수를 잘 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얇은 막으로 만들어도 태양빛을 다 흡수할 수 있음. 이렇게 태양전지를 얇은 막으로 만들면 대량 생산에 매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비정질 재료의 내부에는 원자 결합이 만족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어서 에너지변환효율이 일반적으로 낮고 또 시간에 따라 효율이 감소하는 초기열화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물질에 빛을 쬐일 때 각 물질의 특성에 따라서 빛의 반사량이 다르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불순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
셀룰로오스 성분이 분해될 때 산이 관여한 물리화학적 분해반응으로서 효소가수분해에 비해서 분해속도가 빠른 특성을 갖는다.
산업활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폐기물. 사업장폐기물이라고도 함. 유해성의 유무에 따라 유해폐기물과 일반폐기물로 구분. 폐기물의 90% 이상은 일반폐기물이지만 유해폐기물은 그 유해로 인하여 취급과 처리·처분에 있어서 특별한 법적 규제를 받고 있음.
전기를 몇 개의 전원으로부터 상호 보완적으로 공급받는 것을 의미하며, 태양광으로 발전될 때에는 낮에는 태양광 발전으로 발생된 전기를 사용하고 남는 전력은 전력회사의 전력선(계통선)으로 공급하고, 태양광 발전량이 부족할 때에는 전력회사의 전력선(계통선)으로 부터 전기를 공급 받아 전기를 사용하는 체제를 말함
인간의 모든 생활에서 사용되었으나 그 필요성을 잃어 사용치 않고 버리게 된 산업폐기물 이외의 물질
㎘, t, ㎥, kWh 등 여러가지 단위로 표시되는 각종 에너지원들을 원유 1톤이 발열하는 칼로리(Cal)를 기준으로 표준화한 단위(소문자 toe로 표기
고체상태인 석탄을 휘발유 및 디젤유 등의 액체연료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고온 (430-460℃) 및 고압 (약 100-280기압)의 반응조건 하에서 수소를 첨가시켜서 생성물의 수소/탄소-비를 1.5 - 2.0 정도로 증가시킴으로써 에너지 밀도가 높고 수송 및 보관이 용이한 청정 인조원유를 제조하는 기술. 석탄을 직접 녹여 액화시키는 직접액화기술과 가스화한 후 액화시키는 간접액화기술로 분류됨
바이오매스를 집적화하여 압착시켜 만든 고체 연료
태양전지 하나하나를 일컫는 말로써 제조방법에 따라 그 크기가 각각 다름. 태양광을 전기에 너지로 바꿔주는 일종의 반도체임.
설비용량 10,000kW 이하의 수력발전. 여타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에너지밀도가 높고 경제성이 우수한 에너지원이며, 소수력발전 시스템은 수차, 발전기 및 전력변환장치 등으로 구성
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메탄발효 후에 남는 찌꺼기를 말함
높은 곳에 위치한 물의 위치에너지를 발전기 터빈의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고 발전기 내부의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기를 얻는 방법
원소기호로 H로서 가장 가볍고 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임. 일반적으로 분자상태로 존재하며, 물이나 유기물의 형태로 존재. 1차 에너지의 변환 형태로 보기 때문에 에너지 담체 또는 에너지매체라고도 함
현재의 석유중심의 화석경제체제가 무공해, 무한 에너지원인 수소중심경제체제로 전환된 사회(Jeremy Rifkin, The Hydrogen Economy, 2002)를 의미.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연료전지를 통해 이를 이용한 후 다시 물로 순환하는 무공해 경제사회
수소경제국제파트너쉽. 2003년 11월, 미국 주도로 수소경제로의 조기이행을 위한 효과적 실행방안을 수립하고자 구성. 한국, 미국, 독일, 일본, 영국 등 15개 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운영위원회와 실행연락위원회 운영. 수소·연료전지 분야의 공동 연구개발, 표준화, 안전규정 마련 및 정보교류를 추진중
미래의 핵심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에너지 개발을 위해 미국 주도로 '03.12월 창립된 국제 파트너십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 전 세계 15개국 및 EU가 참여
수소·연료전지 차량에 연료인 수소를 충전할 수 있게 수소를 제조·주입하는 수소충전소. 차량에 수소를 충전할 수 있게 소형의 수소 제조·저장·분배 장치로 구성
석유·석탄의 대체 에너지원으로서의 수소. 이 에너지는 원료에 자원적인 제약이 없고, 태워도 생성물은 물뿐이므로 깨끗하며 자연의 순환을 교란시키지 않고, 파이프 수송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고 효율적 수송이 가능하며, 에너지 저장의 수단이 된다는 특색을 가지고 있음. 열원으로서의 이용 이외에 자동차연료, 항공기연료 등으로 이용분야가 넓음.
수소와 반응하여 수소를 수소 화합물의 형태로 대량으로 흡수하는 합금. 온도나 압력을 바꾸면 수소의 흡수와 방출을 가역적으로 되풀이할 수 있음. 수소의 저장과 수송용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소가 방출할 때의 가스압과 반응할 때의 열을 에너지원으로 이용.
전력회사가 수요측의 전기사용형태를 합리적으로 통제, 조정하는 계획이나 활동을 의미. 수요관리 방법으로는 부하관리(계절별·시간대별 차등요금제도 시행, 수요측 부하 억제 또는 차단), 전략적소비절약(전기기기의 효율개선 인센티브제도 등)등이 있음
날개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풍차
흐르는 물의 에너지를 이용해 날개바퀴를 회전시켜서 역학적인 에너지로 바꿔 동력을 얻는 장치
날개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풍차
원하는 전기출력을 얻기 위해 단위전지(unit cell)를 수십장, 수백장 직렬로 쌓아 올린 본체
연료를 실린더 밖에서 연소시키는 '외연기관'의 일종으로 미리 실린더내에 주입된 동작 가스가 재생기라 불리는 축열체와의 사이에서 열을 주고 받으며 가열, 냉각을 반복하고 동작가스의 팽창, 축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 고효율성, 저공해성, 연료다양성의 특징이 있음
우리나라에서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제2조에 의해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신에너지) 햇빛·물·지열·강수·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재생에너지)로서, 태양, 바이오, 풍력, 수력, 연료전지, 석탄 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 가스화, 해양, 폐기물, 지열, 수소 등 11개분야를 말함
2004년말 현재 총 1차 에너지소비의 2.08%, 『제2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산업자원부, 2003. 12.)에 따르면 총 1차 에너지 기준 2006년 3%, 2011년 5%로 확대 예정
총 발전량의 일부를 화석에너지가 아닌 신재생에너지로 충당케하는 제도로 미국에서 시행중이며, 영국 등에서는 Renewable Obligation이라는 용어로도 사용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투자 경제성 확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발전에 의하여 공급한 전기의 전력거래가격이 산업자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기준가격보다 낮은 경우, 기준가격과 전력거래가격과의 차액(발전차액)을 지원해주는 제도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품질을 보장하고 소비자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설비에 대한 인증을 하는 것. 인증심사기준에 따른 일반심사(공장확인)와 설비심사(성능검사) 기준이상의 능력여부를 심사
신재생에너지 시설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시공능력을 가지고 이를 전문적으로 취급 시공하는 기업으로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2조의 기준을 갖추어 등록한 자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대표적인 물질로써 결정구조는 다이아몬드 구조를 가짐. 일반적으로 지구상에 많은 양이 존재하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 부품은 대부분이 실리콘 기판위에 제작되어진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 경제의 상호 의존성 증가에 부응하여 무역·투자자유화와 원활화 및 경제기술협력을 통한 역내 경제 성장 및 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1989년 출범. 사무국은 싱가포르에 소재. 회원국은 우리나라 , 미국, 일본 등 21개국(회원국: 호주, 브루나이, 캐나다, 칠레, 중국,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필리핀, 러시아, 말레이시아, 멕시코,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페루, 싱가포르, 대만, 태국, 미국, 베트남)
알코올 발효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셀룰로오스의 가수분해를 통하여 글루코오스를 만드는 것이 필요로 함. 셀룰로오스의 가수분해는 산가수분해와 효소가수분해가 있으며, 이를 위한 미생물 균주 선별 및 배양을 통하여 유기알코올(에탄올)을 생산하여 연료로 사용할 수 있음.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력 제고 및 해외시장 진출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양국간 기술교류와 정보교환, 공동 프로젝트 등을 추진. 우리나라는 중국, 몽골 등의 동아시아 지역 국가 뿐 아니라 독일(deutsche-energie-agentur), 미국(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일본(New Energy and Industry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등의 선진국과의 공동협력을 추진중
고지대에 저수지를 만들고 전력의 비수요기인 밤에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여기에 물을 모터펌프로 퍼올려 놓았다가 수요기에 저수지물을 낙하시켜 발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양수발전은 무주 등 네곳에 있음.
IEA(국제에너지기구) 산하 에너지연구기술위원회로서, 화석연료실무위원회(FFWP), 신재생에너지실무위원회(REWP), 최종이용(에너지절약)실무위원회(EUWP), 핵융합기술조정위원회(FPCC) 등 4개 그룹을 산하에 두고 있음. CERT 내에는 40개의 실행합의서(I.A. : Implementing Agreement)가 수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현재 PVPS(Photovoltaic Power Systems), Wind(Wind Energy Systme) 등 12개 프로그램에 가입·활동 중
일정기간 동안 에너지소비증가율을 GDP증가율로 나눈 값. 탄성치가 1을 상회하면 GDP성장율보다 에너지소비증가율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
1985년 IEA/EUTIC로 제안되어 1988년 3월에 실증된 에너지절약 기술들의 수집과 분석 및 보급을 위해 CADDET(Center for the Analysis and Dessemination of Demonstrated Energy Technologies) Energy Efficiency와 CADDET Renewable Energy와 GREENTIE 등의 프로그램을 1997년에 통합한 정보프로그램
화학적으로 수소를 함유하는 일반 연료(LPG, LNG, 메탄, 석탄가스, 메탄올 등)를 연료 전지가 요구하는 수소가스로 변환해 주는 장치
연료(주로 화석연료로부터의 수소)와 산화제(주로 공기로부터의 산소)를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이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하는 직류발전장치. 연료의 에너지를 열이 아닌 전기에너지로 이용하는 것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연료전지가 전기를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동시키는 방식의 자동차
석탄 및 가연성물질이 연소된 후 남는 재를 말함
산업공단 폐수종말 처리장 및 도시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찌꺼기 물질로서 슬러지라고도 불림
해양 표면층의 온수(예: 25~30℃)와 심해 500~1000m 정도의 냉수(예: 5~7℃)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전하는 기술
대기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기체들 가운데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가스. 제3차 당사국총회('97.12)에서 온실가스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지정하였음
산림을 솎아내어 베어낸 간벌재를 잘라 3~4㎝ 크기로 자른 조각들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규소(Si)를 고순도로 정제하여 결정시킨후 얇게 잘라낸 것을 말함. 실리콘 기판이라고도 하며, 잉곳을 절단해서 태양전지의 셀을 만듦
교토의정서에 따라 감축해야 하는 여섯가지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 중 하나임. 전기제품, 변압기 등의 절연체로 사용되며, 육불화황의 지구온난화지수(CO2=1)는 23,900배임
전력판매사가 정부가 정한 기준가격으로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의무 구매하고, 이를 전기요금에 흡수하는 제도
음식쓰레기를 동물의 사료로 재활용 할 때 이의 장기 보관시 미생물들에 의한 분해 즉, 부패가 진행될 수 있음.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105℃로 가열하여 살균하는 공정을 말함
태양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는 직류이나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교류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바꾸어 주어야 사용할 수 있으며, 인버터는 이러한 기능을 하는 기계를 인버터라고 함
인산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저온형 연료전지의 하나로 현재 상업화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병원, 호텔 등의 분산형 전원으로 개발되어 있음
인산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저온형 연료전지의 하나로 현재 상업화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병원, 호텔 등의 분산형 전원으로 개발되어 있음.
태양전지의 원재료인 폴리실리콘을 녹여서 일정한 주형에 넣어 굳게 한 기둥모양의 덩어리임
에너지의 생산, 공급, 소비 등에 관련되는 기업 또는 사업자단체가 정부측과 협약을 체결하여 기업은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축목표, 추진일정, 이행방법 등을 제시하고 정부는 모니터링, 평가와 아울러 기업을 지원함으로써 공동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비규제적 시책. 우리 나라는 연간 에너지사용량이 2천 toe 이상인 에너지 다소비사업장을 대상으로 시행중.
폐기물 중에 포함된 성분중에서 자석에 붙는 금속성분만을 분류하는 방법. 폐기물을 대형의 자석 아래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포함된 철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
자연 대류를 작동원리로 하는 전형적인 자연형 시스템으로 자연 대류형 온수 급탕기가 있으며, 평판형 집열기와 그 위에 설치된 축열 탱크,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관으로 구성되며, 태양열에 의한 집열기에서의 온도 상승으로 더워진 물은 비중차에 의해 집열기 위의 축열탱크로 상승관을 통해 올라가고, 이 온수는 탱크 하부로 내려갑니다. 탱크하부로 내려오면서 수온이 낮아진 물은 다시 집열기 하부로 들어가 가열되기 시작하는 자연순환을 반복된다. 순환은 일사가 시작됨과 동시에 시작하여 일사량이 없으면 정지하며, 이와 같이 외부의 동력 및 제어 장치가 없더라도 순환하는 것이 이 시스템의 장점이 있다.
재이용과 재활용 그리고 에너지로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
'03.10월에 영국 주도로 결성.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이용 효율 관련 국제 협력을 목적으로 활동하며, 전 세계 22개국이 참여. 우리나라는 '05년 3월 가입
초저공해 자동차라는 뜻으로 앞에 울트라(Ultra)를 붙여서 ULEV 또는 수퍼 울트라(Super Ultra)를 붙여서 SULEV라는 표현도 사용
전자의 흐름으로 어떠한 일을 할 수 있는 에너지의 한 형태
두 가지 이상의 물질들이 합쳐지거나 하나의 물질이 쪼개어져 처음과는 성질이 다른 물질로 되는 변화를 화학 반응이라고 하고 전자나 이온이 참여하여 전기현상과 관련된 화학반응을 특별히 전기화학 반응이라 부름.
전력변환효율은 태양전지로 입사한 태양 에너지가 전지내에서 얼마나 많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켰는가를 나타내는 척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력변환효율이 높다는 것은 같은 태양에너지로 많은 전기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의미함
발전사업자와 판매사업자간에 생산전력을 일정기간, 일정가격으로 구입하기 위한 계약
태양전지에 의해 모여진 전기는 매일 일정한 양으로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태양빛이 약한 이른 아침이나 저녁, 혹은 구름이 낀 날에는 전기가 덜 만들어지고 태양빛이 강할 때에는 전기가 많이 발생됨. 전력조절 장치란 이와 같이 일정치 않게 만들어지는 전기를 모아서 일정한 양으로 공급해 주는 장치를 말함
물등의 극성용매에서 이온화되어 전기전도를 하는 물질. 용액 속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무질서하게 해리(解離)되며 이와 같은 용액 속에 전극을 넣고 전압을 가하면, 양이온은 음극으로, 음이온은 양극으로 끌려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는 용액을 통해서 전류가 생김. 이온으로 해리하는 전리도가 높은 것일수록 전기전도성이 좋은데 이것을 강한전해질이라 하고, 그 반대의 것을 약한 전해질이라고 함
폐유를 정제하여 제조한 연료
조석을 동력원으로 하여 해수면의 상승하강 운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기술
자연적인 조류(조수의 흐름)를 이용해 발전하는 기술
30℃-40℃에서 활동할 수 있는 미생물로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미생물을 말함
원 원유를 정제하고 남은 최종 잔재물로서, 감압증류 과정에서 나오는 감압잔사유 및 아스팔트와 열분해공정에서 나오는 코크, 타르, 피치 등을 말함
저회전·고토크를 갖는 입력동력을 증속하여 고회전·저토크의 출력동력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함
지열은 지하의 물체가 갖는 열을 말함. 지열은 지구가 생성될 때 있던 열로 아직 방열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우라늄이나 토륨 같은 방사성원소의 붕괴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음. 일본과 같이 화산이 많은 고온지열지대는 지하에 용융암석의 활동에 의한 것으로 여기에 물을 주입하여 증기를 생산하고 이것으로 증기터빈을 돌려서 발전에 이용할 수가 있고 이런 시스템을 지열 발전소라고 함. 보통 화산이 없는 지대에서는 약 3,000미터 지하로 들어가면 약 섭씨 100도가 됨. 지역에 따라서는 이보다 온도가 높을 수도 있음. 파리 같은 곳에서는 약 1,500미터 정도에서 약 70도 전후의 열을 퍼 올려 지역난방에 사용함
흐름의 방향이 시간적으로 변하지 않는 전류. 직류발전기나 전지에서 얻는데, 교류를 정류기로 정류하여 직류로 만들 수도 있음
집열기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가장 중요한 장치
태양열 난방 및 급탕 시스템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태양열 기기로 집열기로 입사된 태양에너지는 흑색으로 도장된 흡수판에 열에너지로 대부분 흡수되며, 흡수된 열에너지는 순환되는 열전달 매체에 전달되고 일부는 주위로 손실되게 됩니다. 열전달 매체에 옮겨진 열에너지는 가용 집열량으로 저장되거나 열 부하에 직접 공급되고, 평판형 집열기의 필수적인 구성품은 투명 덮개, 흡열판, 열전달 매체 도관, 단열재 및 집열기틀로 이루어지며, 투명 덮개는 태양 에너지가 입사될 수 있으면서 집열기 윗면의 단열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고, 흡열판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져 태양 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무광 흑색 도장을 합니다. 열전달 매체 도관은 흡열판에 밀착되어 물이나 공기 등과 같은 열전달 매체가 순환될 수 있는 파이프나 덕트로 되어 있고, 집열기 내의 단열재는 아랫면과 가장자리 면에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부착되며, 집열기틀은 집열기 자체의 내구성과 내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임
거울, 볼록렌즈 등을 이용하여 햇빛을 한곳으로 모아, 건물내부, 지하실 등 평소 햇빛을 받지 못하거나, 햇빛이 직접 도달하지 않는 임의의 장소 등에 낮 시간 동안 햇빛을 공급하는 것
공정, 제품, 그리고 서비스 등 전 분야에서 자원생산성 및 효율을 극대화하고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위해성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통합 환경전략을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활동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연료전지가 결합된 청정에너지 단지
어떤 물질을 일정기간 사용하고 난 후, 초기 상태에 비해 에너지의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고, 그 이후부터는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현상을 의미함
화학 반응에 있어서 자신은 변화하지 않고 다른 물질의 화학 반응을 촉진 또는 지연시키는 물질을 말함
열을 발생하는 열원과 그 열을 이용하는 기기 사이에는 대체로 공간적이나 시간적인 거리가 있게 됨. 공간적인 거리를 극복하기 위하여는 열을 이동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나 배관이 필요하며, 시간적인 거리를 극복하기 위해서 축열이 필요함. 축열은 열을 저장한다는 의미로 열을 저장하여 태양열이 약할 때 저장한 열을 사용하는 것임
만들어진 전기를 필요할 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해 두는 전기 저장장치를 축전지라고 함
매립된 폐기물이 부패되어 수분함유 용량의 감소로 빠져나오는 수분을 말함
6각형 고리 모양의 탄소들로 이뤄진 나노단위의 튜브. 육각형 고리로 연결된 탄소들이 긴 대롱모양을 이루는 1nm(10억분의 1m)크기의 미세한 분자로서 흑연을 미세하게 종이처럼 자르면 마르면서 생기는 미래형 소재. 탄력성과 강도, 유연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연료전지, 메모리소자, 전자소자 등에 응용 가능. 일본의 이지마 박사가 1991년에 우연히 가늘고 긴 대롱 모양의 탄소구조가 형성된 것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여 세계적인 과학학술지인 nature에 보고한 것이 탄소나노튜브의 시작.
석유 유분중의 황화합물을 제거하는 것. 알칼리세정, 용제탈황 등도 있으나, 현재는 수소화탈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태양전지를 직병렬 연결하여 장기간 자연환경 및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 형태. 전면에는 투과율이 좋은 강화유리, 뒷면에는 Tedlar를 사용하고, 태양전지와 앞뒷면의 유리, 테들러는 EVA를 사용하여 접합시키는데 이를 Lamination 공정이라 함
태양광 발전은 태양 빛을 받으면 직접 전기를 발생하는 반도체 소자인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 방식으로 광전 효과(photo- voltaic effect)를 이용. 태양광 발전의 특징으로는 깨끗하고 무한한 에너지원으로서 회전부분이 없어 조용하고 수명이 길 뿐 아니라 보수가 용이하고 자동화, 무인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음.
태양광 에너지는 태양에서 복사되는 빛에너지로, 지구상의 모든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에너지로 태양광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이나 작물재배 등에 이용되고 있음
태양빛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장치로서 햇빛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로 구성된 모듈과 전력변환장치(인버터)로 구성
태양로란 태양열을 모아 화로를 만드는 것으로 빛을 모으는 부 분은 높이 40m, 폭 54m의 건물에 45cm X 45cm 크기의 평면경 9500개를 붙여 만든 초점 거리 17,7m의 포물면경임. 태양빛을 한 점에 모으기 위하여 항상 이 포물면경의 축에 평행하게 햇빛을 보내야 하는데 이것은 포물면경의 정면에 높이 6m X 7 m의 평면경 63개를 8계단으로 층층이 세워 태양의 위치에 따라 평면경의 각도를 컴퓨터로 자동 조절함으로 이루어지게 됨. 반사 평면경 하나하나는 50 X 50cm의 작은 거울로 조립되어 있으며, 포물 면경에 도달하는 태양빛은 17.7m의 초점에 맞추어 세워진 27m 건물 꼭대기에 직경 60cm 정도의 원형으로 모아지게되며 최고 3000℃까지의 온도를 얻을 수 있음. 태양로는 고온 물리화학의 연구, 융점의 측정, 단일 결정의 생성 연구 등에 이용되고 있음.
태양열로 증기 원동기를 작동시킨 힘으로 발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햇빛을 수없이 많은 거울 등의 반사체로 한 점에 집광시켜 고온을 얻고, 이 높은 열로써 태양로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터빈을 돌리는 것을 말함
태양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워 온수·급탕에 사용하는 설비로써 집열부와 축열부로 구성되며 집열기의 형태에 따라 평판형, 진공관형, 접시형 등으로 구분
물을 가열 또는 예열하기 위해 태양열을 집열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주로 가정용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이를 가정용 온수급탕시스템(DHWS)이라고도 함
태양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열전달매체에 전달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
태양열을 열 매체에 전달하여 수집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도록 설계된 발전시설
태양으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에너지를 흡수, 저장 및 열변환 등을 통해 얻어지는 무공해·무한정의 청정 에너지원으로, 태양열 이용시스템은 집열부, 축열부 및 이용부로 구성되어 있음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光전지. 대표적인 예로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붙여 만드는 실리콘 태양전지가 있는데 전지가 태양빛을 받으면 정공(+)이 발생하여 P형 반도체쪽으로 모이고, 전자(-)가 발생하여 N형 반도체 쪽으로 모여 전류가 흐르는데 이의 원리를 이용한 전지. 태양전지의 전원은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무공해이고 고갈될 염려가 없는 전기원으로 초기에는 전기를 만들어 내는데 드는 비용이 높아서 우주선, 인공위성 등과 같은 특수한 용도를 위해 사용되었으나, 기술의 발달로 현재는 태양전지를 집의 벽이나 지붕으로 쓰거나, 가로 등 일상생활 용품인 손목시계, 소형 계산기 등의 전원으로도 쓰고 있음
신·재생에너지분야 교과과정, 교재개발, 교원확보 등의 교육인프라를 구축하여 석박사급 인력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이공계 특성화대학원
입사하는 파랑에너지를 터빈 같은 원동기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발전하는 기술
태양광, 풍력, 지열, 폐기물, 바이오매스 등 신·재생에너지를 직접 이용하거나 물을 분해하여 생산된 수소를 활용, 연료전지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분산전원 공급체계를 갖춘 실증단지. 유사시설로 미국 하와이 수소공원, 노르웨이 Grimstad 에너지공원 등이 있음
수소이온지수(pH)가 12.5 이상인 알카리용액을 말함
사업장, 가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폐기물 중 에너지 함량이 높은 폐기물을 고형화 처리를 통해 생산한 재생에너지.
사업장, 가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폐기물 중 에너지 함량이 높은 폐기물을 열분해, 고형화, 연소 등의 가공처리를 통해 고체연료, 액체연료, 가스연료, 폐열 등으로 생산하여 생산 활동에 재이용 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수소이온지수(pH)가 2이하인 산성용액을 말함
기름성분을 5% 이상 함유한 것으로서 주로 폐윤활유, 광물유, 용제, 타르, 핏치 등을 의미함
규소에서 실리콘을 뽑아내는 공정으로 태양전지에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작은 실리콘 결정체들로 이루어진 물질. 태양광에너지 가치사슬에서 맨 앞에 위치한 핵심 소재
바람이 갖고 있는 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장치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발생되는 전력을 전력 계통이나 수요자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로서, 풍력발전 시스템은 풍차, 동력전달장치, 발전기, 축전지 및 전력변환장치로 구성
다양한 형태의 풍차를 이용하여 바람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역학적 에너지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얻어내는 시스템
바람이 갖고 있는 에너지
타워란 풍력발전기를 지탱해 주는 구조물. 수평축 풍력발전기(HAWT: Horizontal Axis Wind Turbine)의 경우 나셀과 로터부를 지상에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켜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고 수직축 풍력발전기(VAWT: Vertical Axis Wind Turbine)의 경우 회전축의 역할까지 담당하는 구조물임. 대형 구조물의 경우 내부에 엘리베이터 시스템 등 여러 가지 보수를 위한 장치들이 장착되기도 함
풍력자원 현황의 줄임말로, 풍황을 나타낼 때에는 연평균풍속, 풍력에너지 밀도, 주풍향, 풍속분포 등을 표시함.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데 적절한 지역 선택과, 특정 장소에 적합한 발전기 용량 선정 시 중요한 자료로 쓰임
수력발전소용 수차의 하나로서, 미국 수력기술자 J.B.프란시스가 고안한 수력발전소용의 반동형 수차. 물이 소용돌이형의 도관을 지나 안내날개로 들어간 다음 임펠러로 가서, 날개에 반동작용을 주어 임펠러를 돌리고, 임펠러를 나온 물은 중심부에 모여 흡출관을 거쳐 방수로로 나옴. 안내날개는 임펠러의 바깥쪽에 있지만, 그 날개의 축을 중심으로 한 조속기구(調速機構)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음. 중간낙차(25~300m)이고 수량(水量)이 많을 경우에 사용
스프레이의 분사제냉각제로 사용되는 화합물로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 물질. 냉장고, 에어콘의 냉매, 스프레이, 일회용 용기의 발포제, 전자제품의 기름때를 빼는 세정제 등으로 널리 사용됨
중장기적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기술개발-상품화-보급단계의 모든 내용을 포함하여 정부주도로 진행되는 사업. 신·재생에너지분야에서는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적고 시장잠재력이 큰 수소·연료전지, 풍력, 태양광 등 3대 분야를 지칭
하수 혹은 폐수 처리 과정에서 액상체로부터 고형물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물질이나 하수 침전물 찌꺼기
전기, 휘발유 등 두 종류 이상의 동력원을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장점으로는 연료비가 절약되고, 적은 연료를 사용하게 되어 공해물질 배출이 적음.
조석, 조류, 파랑, 해수 수온 밀도차 등 여러 가지 형태로 해양에 부존하는 에너지원
핵심기술에 대한 산학연 공동연구를 위해 연구기자재, 시험평가장비, 시험생산설비를 구축한 연구센터(Test Bed Center)
산소가 없는 상태 하에서 미생물을 이용해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주로 메탄가스를 생성시키는 공정을 말함
혐기성 분해와 반대되는 분해로서 산소를 좋아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것
석탄, 석유, 가스 등과 같이 지구 역사상 아주 오래전에 생물체들이 땅속에 묻혀서 변화(화석화)되어 만들어진 연료를 말함. 현재 매우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을 하면 할수록 매장량은 줄어들고 환경을 오염시킴.
단일 원소로 구성된 실리콘과는 달리 두 가지 이상의 원소가 결합된 화합물 재료로 만들어진 태양전지를 말하며 갈륨비소(GaAs) 태양전지가 그 대표적인 예이며, 효율이 높고(30% 정도), 박막화가 가능하며 비교적 고온에서도 특성변화가 적고 방사선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여 우주용 등 특수 목적으로 주로 사용됨
건류공정에서 유기물의 경우 가스 및 액체의 형태로 변화되어 활용이 가능하나 무기물의 경우는 미반응의 형태로 남게 되며 이를 회재분이라고 함
셀룰로오스 성분의 분해시 효소가 관여된 반응으로 글루코오스의 생산수율이 높은 특성을 갖으나 산가수분해에 비해서 분해속도가 느림
냉동기의 응축기로부터 방열되는 열을 난방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장치를 히트펌프라고 함. 히트펌프는 증발기측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저온부로부터 열을 빨아들이고 증발된 증기가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고온부인 응축기에서 응축함. 이때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며 열을 빨아들이는 저온부로는 자연에너지인 지열이 될 수도 있고 폐열원, 태양에너지가 될 수도 있음
동력원 주변에 동력시스템 패키지를 구성하는 보조 장치 (수소·연료전지의 의미)
연료전지의 코어설비인 스택(stack) 이외의 주변에 있는 동력시스템 패키지를 구성하는 보조 장치(열관리시스템, 물관리시스템, 공기공급장치 등)
폐지류, 농업폐기물(쌀겨, 옥수수대 등 농작물의 부산물), 폐목재류, 식물성잔재류, 초본류 폐기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바이오 고형연료 제품
일반발전기 용량정산금. 가용 가능한 발전설비에 대하여 실제 발전 여부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수준의 요금(신규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금액)
가장 간단한 지방족 에테르류. 메틸에테르라고도 하며 분자식은 C2H6O. 일반적으로 메탄올이 탈수반응을 거쳐 생성되지만, 석탄에서 얻어지는 합성가스와 천연가스로부터 DME 생산이 가능. 최근 수송 에너지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데, 특히 수송 연료의 관점에서 DME 활용은 기존의 가솔린과 디젤 연료에 비해 질소산화물과 미탄화수소의 배출가스가 현저히 낮게 배출되어 새로운 ULEV (Ultra Low Emission Vehicle)의 환경 규제치를 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청정 에너지중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음
에너지성(미국)
미국, 일본 등 회원국 20개국이 자국내에서 생산된 에너지관련 기술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운영기관인 미국의 DOE/OSTI에 보내면, OSTI는 이를 취합하여 DB화하고 회원국에게 배포하여 공동 활용하기 위하여 1987년에 설립된 IEA의 정보교환 프로그램중 하나
제에너지기구. 국제에너지계획(IEP: International Energy Program)을 수행하기 위하여, 1974년 9월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내 설치된 자율적 기관으로서,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26개국이 참여하여 에너지 문제 협력에 관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수행
료전지시스템 중 핵심부품으로 전해질, 전극, 촉매, 분리막 등이 일체화되어 있는 복합체
국립 재생에너지 연구소(미국)
국립 재생에너지 연구소(미국)
"태양광 어레이(Array)로부터 발전된 직류전력을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 직류를 교류전력으로 변환시켜 주는 기본 기능 외에 보호협조, 전력품질 기능 등을 갖는 장치로서 구성 및 용도에 따라 독립형/연계형, 단상/3상, 절연변압기/고주파변압기/무변압기 형태로 구분"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사용하여 품질등급 기준에 적합하게 제조한 고형연료 제품
재생에너지·에너지효율파트너쉽. 2003년 10월, 지속발전세계정상회의(WSSD)의 후속 조치로 영국에서 조직되었으며 미국, 독일, 일본, 중국, 한국 등 22개국이 참여중.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에 관한 지식의 공유와 우수사례 및 경험 전파를 목적으로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시장확대를 위한 정책과 규정, 재원조달 등을 다루고 있음. 남아프리카, 동?중부유럽, 북미, 남미, 동아시아 등 지역별로 운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5년 3월 공식 참여하여 동아시아 지역에서 활동중
"신?재생에너지 공급 협약. 대형에너지공급사를 대상으로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개발 공급계획을 수립하여 정부와 협의 후, 자발적으로 협약 체결 시행"
폐플라스틱 고형연료제품. 폐기물 고형연료제품 중 특히, 폐플라스틱을 중량기준으로 60%이상 함유하여 제조한 고형연료제품을 말함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신재생에너지발전 의무 할당제. 발전사업자의 총 발전량, 판매사업자의 총 판매량의 일정비율을 신재생에너지원으로 공급 또는 판매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미국, 영국, 일본, 호주, 덴마크 등이 최근 도입 운영)
Ton of Refrigeration으로 단위시간에 냉각하는 냉각열량(kcal/hr)을 나타내며 냉동능력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냉동톤이라고 함. 1RT는 0℃물 1Ton(1,000 kg)을 24시간동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들 때 냉각해야할 열량
계통한계가격. 각 시간대별로 필요한 전력수요를 맞추기 위해 가동한 발전원 중 비용이 가장 비싼 발전원의 운전비용이 계통 한계가격이 됨
생활폐기물, 폐합성수지, 폐합성섬유, 폐고무, 폐타이어 등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서로 혼합하여 만든 일반 고형연료
폐타이어를 사용하여 품질등급 기준에 적합하게 제조한 고형연료 제품
풍력단지